top of page
DJI_0027.jpg

횡성우천새말문화복합쉼터

National Route 42

네델란드 참전기념공원 맞은편의 국도변 휴게소로  설계공모에 당선되어 25년 6월 준공 예정입니다.

This rest area along the national highway across from the Netherlands War Memorial Park won the architectural design contest  and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June 2025.

딩가동2번지

Dingga-dong2

서울시 마을건축가로서 중랑구의 도시리서치를 통해 대지, 용도, 규모, 예산 등을 제안하여 실현된 청소년을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세 항아리에 이은 연작이며, 건축 형식이 같고 대지, 구조, 재료, 용도 등이 다를 때 어떤 차이와 가치가 만들어지는 지에 대한 실험입니다.  

As a village architect in Seoul, this is a project for youth that was realized by proposing the site, use, scale, budget, etc. through urban research in Jungnang-gu.

This is a series following the Three Jars, and is an experiment on what difference and value are created when the architectural form is the same but the site, structure, materials, and uses are different.

DJI_0098.JPG
AU_02616.JPG

세항아리_된장공장공장장은~

Three Pots

수제된장공장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로 변하는 빛의 각도와 양에 반응하는 세 개의 고깔과 하나의 직육면체의 조합 형식을 실험한 프로젝트입니다. 

This project is a community facility for a handmade soybean paste factory that experiments a combination of three cones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at respond to changing angles and amounts of light.

별내다가구주택

Byulnae housing

별내동 다가구주택
별내 신도시에 다섯 가구를 위한 다가구 주택으로 썬큰이 있는 최하층에 모든 세대를 위한 공용 마당과 커뮤니티실이 있습니다.  주거공동체적 가능성을 기대한 프로젝트 입니다. 

It is a multi-family house for five households in Byeolnae New Town, with a common yard and community room for all households on the lowest floor where the sunken is located.This is a project that anticipat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mmunity possibility of  housing.

합덕도시재생리모델링 공모

문화공간플랫폼 투시도.jpg

Hapdeok Urban Regeneration

100년 전에 만들어진 목구조의 창고 건물에 대한 해석을 요구한 설계 공모에서 2등 수상했습니다.  시간성을 고려하는 옛 것과 새 것의 관계에 대한 프로젝트입니다. 

Won second place in a design contest that required an analysis of a wooden warehouse building built 100 years ago. This is a projec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the new, considering temporality.

​이태원복층주택과 사진작가의 작업실

Flying Fairy

서울 강북 남산자락의 도시건축의 유형에 대한 리서치로부터 공적 인프라스트럭쳐(Public infrastructure)가 상대적으로 사적 인프라스트럭쳐(semi-public infrastruture)가 될 때 건축은 도시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진행한 프로젝트 입니다.  

This project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 of what attitude architecture should take toward the city when public infrastructure becomes relatively private infrastructure (semi-public infrastructure), based on research on the types of urban architecture at the foot of Namsan Mountain in Gangbuk, Seoul.

IMG_0610.jpg
secret garden 2

​옥인동 단독주택 리모델링 

secret garden2

종로구 서촌에 위치한 지하1층, 지상2층의 45년된 연와조의  적산가옥에서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새로이 할 것인지를 탐구한 주거 프로젝트 입니다. 

This is a residential project that considered what to keep and what to renew in the 45-year-old built-of-brick house with one underground floor and two above-ground floors located in Seochon, Jongno-gu.

문경가은농공단지

​Mungyeong Gaeun Agricultural & Industrial Complex

농공 단지의 노동자들을 위한 기숙사 및 커뮤니티 시설로 중정을 통해 공동체를 위한 안락함과 더불어  벼룩시장, 야외공연, 문화 교류 등의 공유 활동들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길 기대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As a dormitory and community facility for workers in a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complex, this project expects to provide comfort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urtyard as well as share activities such as flea markets, watching outdoor performances, and cultural exchanges.

문경시가은농공단지복합문화시설.jpg
문경농촌인력지원센터

문경농촌인력지원센터

Mungyeong Rural Human Resources Support Center

문경시 농촌인력을 위한 기숙사커뮤니티 시설을 위한 설계공모참가작입니다.  청보리밭의 조경과 중정을 품은 기숙사를 통과하는 산책로를 제안했고, 기숙사 유닛을 어긋나게 배치하면서 자연스럽게 프라이버시와 채광을 확보합니다. 

This is a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entry for dormitories and community facilities for rural workers in Mungyeong City.  We proposed a walking path that passes through the dormitory with green barley field landscaping and a courtyard, and by arranging the dormitory units in a staggered manner, privacy and lighting are naturally secured.

서울시제2핀테크(블록체인)랩

​서울시 제2핀테크 블록체인 랩

Seoul 2nd Fin-tech Blockchain LAB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핀테크 블록체인 랩을 위한 오피스 디자인입니다.

​This is an office design for a fin-tech blockchain lab operated by Seoul City.

중현초등학교 도서관

​Junghyeon Elementary School Library

​서울중현초등학교 도서관 디자인으로 아이들 키에 적합한 낮은 서고와 독서 공간이 아이들 동선 흐름에 맞추어 배치되고.  휴식 가능한 다락공간과 자유로운 책상 배치가 가능한 학습 공간을 제안합니다. 

Seoul Junghyeon Elementary School's library design features low library and reading space appropriate for children's height,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movement flow.  We propose an attic space where you can relax and a study space where desks can be freely arranged.

중현초등학교도서관
수원삼일공고환경교실

삼일공업고등학교 환경교실

Samil Technical High School Environmental Classroom

환경 교실을 두 곳으로 나누어 쓰거나 하나로 쓸 수 있는 가변형 디자인을 제안하면서 가장자리로 수납과 휴식 공간을 배치하고 비워진 중심 공간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 proposed a flexible design that allows the environmental classroom to be divided into two or used as one, placing storage and rest areas at the edges and allowing the empty central space to be used as needed.

남해로컬푸드복합센터

남해로컬푸드문화센터

Namhae Local Food Culture Center

​바다를 내다보는 삼각형의 땅에  해안선을 따라 곡선형의 매스를 배치하고,  반대편에는 야외 마켓이 열리는 광장을 두면서 주변의 산을 닮은 목구조로 만든 천창을 통해 하늘을 즐길 수 있는 로컬푸드문화 센터를 제안했습니다. 

​We proposed a local food culture center where a curved mass is placed along the coastline on a triangular piece of land overlooking the sea, and on the other side is a plaza where an outdoor market could be held, and where people could enjoy the sky through a wooden skylight that resembled the surrounding mountains

서울시청 제2 청년활력소

Seoul City Hall 2nd Youth Vitality Center

서울시청 시민청에 시민을 위한 다양한 공간 중, 청년들의 취업상담 및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제2청년활력소를 설계했습니다. 

​Among the various spaces at  Seoul City Hall, we designed the 2nd Youth Vitality Center where young people can receive employment counseling and self-development.

서울시청 제2청년활력소
압구정현대아파트

압구정아파트 리모델링

Apgujeong Hyundai Apartment remodeling

오-스케이프에서는 다양한 아파트 공간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이 프로젝트에서는 공간의 사용성을 증대 시키면서 접이식 가구들을 제안하고 기존의  기둥 구조를 활용한 수납 공간을 제안했습니다. 

O-Scape presented a variety of apartment space designs. In this project, folding furniture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space, and storage space was proposed using the existing column structure.

대치2동 주민센터 유휴공간

Daechi 2-dong Community Center unused space

주민센터 로비의 유휴공간을 주민들의 대기공간으로 제안했습니다.옛 창호문을 떠올리며 디자인한 파티션은 창살에 깊이감을 주면서 반 개방적인 공간을 제공합니다. 

We proposed the unused space in the lobby of the community center as a waiting space for citizen. The partition, designed reminiscent of Korean old windows, gives a sense of depth to the bars and provides a semi-open space.

대치2동 주민자치센터 로비
수리마을커뮤니티센터-오스케이프.jpg

불광동 수리마을 커뮤니티센터

Bulgwang-dong Suri Village Community Center

어린이육아방, 우리동네 키움센터, 작은도서관, 주민공동이용시설 등을 담는 생활 복합시설 설계공모에서 가작 수상했습니다. 

We won an honorable mention in the competition for a living complex that includes a children care center, a small library, and community facilities for residents.

서울시 일자리 까페

Seoul Job Center

청년들의 창업 및 취업을 위한 경제, 금융, 법, 심리 상담 및 인큐베이터 역활을 하는 청년활력소 프로젝트입니다.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바이오필리아의 주제를 담는 프로젝트 중 하나 입니다. 

This is a youth vitality center project that provides economic, financial, legal,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erves as an incubator for young people to start businesses and find employment. This is one of the projects that contains the topic of biophilia, which we are continuously interested in.

서울시청년일자리센터
인천시 미추홀구

인천시 미추홀구 더불어 마을

Together Village, Michuhol-gu, inchon-si

2019년 미추홀구 용일사거리 남동측의 총괄계획가(Master Planner)로서 주안3동 주민들, 활동가와 함께 준비하고, 도시리서치를 통해 Master Plan을 제안하고  더불어마을 사업에 체택되었습니다.

In 2019, as a Master Planner for the southeastern side of Yongil Intersection in Michuhol-gu, we prepared a master plan with Juan 3-dong residents and activists, and created a master plan through urban research, which was selected for the Village project.

​애TV 그림책학교 서촌

Ae TV-Picture Book School

AeTV
전 MBC아나운서이자 현 유튜브 채널 ‘애TV’ 및 ‘그림책학교서촌’의 문지애 원장의 어린이를 위한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다양한 공간 사용을 위한 가변형 벽에 대한 스터디가 담긴 프로젝트 입니다. 

Ji-ae Moon, former MBC announcer and current director of YouTube channel ‘Ae TV, Picture Book School Seochon’, designed a space for children. This project contains a study on variable walls for use in various spaces.

사회적경제활성화센터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센터

Biophilia 2- Seoul Social Economy Activation Center

서울시 창업인큐베이터로서 금융, 조직, 법, 심리 상담등을 제공하는 공유오피스 입니다. 바이오필리아를 주제로 한 연작시리즈의 두번째 프로젝트 입니다. 

As a startup incubator in Seoul, it is a shared office that provides financial, organizational, legal,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is is the second project in a series on the theme of biophilia.

​서울시 소셜벤처 허브센터

Biophilia - Seoul social venture hub center

청년들의 창업 및 취업을 위한 경제, 금융, 법, 심리 상담 및 인큐베이터 역활을 하는 공유오피스로 바이오필리아를 주제로 한 연작시리즈의 첫번째 프로젝트 입니다. 

This is the first project in a series on the theme of biophilia, a shared office that provides economic, financial, legal,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erves as an incubator for young people to start a business and find employment.

Biophilia
City Farmers' Market

도시 농부 마켓

City Farmers' Market

금천동 고가하부에 주민공공시설로 도시농업프로그램을 제안한 공모에서 3등 수상했습니다. 

Won third place in a contest proposing an urban farming program as a public facility for residents under an overpass in Geumcheon-dong.

이우학교 환경교실

Dreaming Environmental Classroom - Ewoo School

[단계적 환경실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이우중고등학교의 기존의 설계 의도를 이해하고 대안학교의 특성을  살리면서 폐현수막을 업사이클한 밧줄을 사용한  환경교실을 설계했습니다. 

[Sustainable design through step-by-step environmental practices] ​ We designed an environmental class using ropes made from upcycled discarded banners while understanding Leewoo Middle and High School's existing design intent and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lternative school.

o-scape_이우학교 환경학교-2.jpg

완앤송 하우스레스토랑

20180124_124216-small_edited.jpg

wan&song
house Restaurant

속초 영랑호 주변의 요소인 잔교와 단독 주택의 형식을 분석해서 목구조로 수직 증축을 제안하고 2층 레스토랑에 이르는 진입데크를 강풍과 빛 그림자를 고려하면서 디자인했습니다.  

By analyzing the piers around Yeongnang Lake in Sokcho and the forms of  single-family homes, we proposed a vertical extension with a wooden structure and designed the access deck to the restaurant on the second floor, taking strong winds and light shadows into consideration.

聽琴賞蓮 청고상련

pyungchang-dong house

평창동의 주택 리모델링프로젝트로 설계 및 시공을 진행했습니다. 기존 계단구조를 남기고 난간벽 디자인을 조명 및 수납공간과 결합하여 제안했습니다. 주거공간의 private, semi-private, public 공간의 위계에  대한 고민이 담긴 프로젝트입니다. 

We carried out design and build for a house remodeling project in Pyeongchang-dong. We proposed leaving the existing staircase structure and combining the railing wall design with lighting and storage space. This is a project that concerns about the hierarchy of private, semi-private, and public spaces in residential space.

평창동주택 - 청고상련
mix in match

​복층형 타운하우스

mix in match

경기도의 복층형 타운하우스 리모델링 프로젝트로 주거에 있어 Public, Semi-Public, Private 공간을 구분하고 층별 다른 컨셉으로 공간, 재료, 조명, 색상 등을 Mix in Match로 디자인했습니다. 

This is a duplex townhouse remodeling project in Gyeonggi-do, dividing public, semi-public, and private spaces into residential spaces, and designing spaces, materials, lighting, and colors with a different concept for each floor through Mix in Match.

프로젝트 라벤더

project lavender

아파트 리모델링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로 클래식 음악 감상을 즐기는 부부의 레코드 장을 디자인하고 서비스공간과 거실영역을 구분하면서 마감재 및 패브릭들을 제안했습니다.

As an apartment remodeling design-build project, we designed a record cabinet for a couple who enjoys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and proposed finishing materials and fabrics while dividing the service space and living room area.

project lavender
secret garnden

시크릿 가든

secret garden

한국적이되 모던한 집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 입니다. 21층 부터 약 5개 층들에 위치한 서비스 면적으로 추가된 서재에 붙어 있는 동그란 모양의 발코니는 이 아파트의 타이틀인 secret garden을 선사합니다. 타일 패턴 디자인과 좁고 둥근 벤치는 서재에서 서류와 책에 둘러싸인 일상에 휴식을 선물할 것입니다.

This project is themed around a Korean-style but modern house. The round balcony attached to the study, which was added as a service area located on about 5 floors from the 21st floor, provides the title of this apartment, a secret garden. The tile pattern design and narrow, round bench will give you a break from your daily life surrounded by documents and books in the study.

힐링 프로젝트

healing project

20년 된 도심의 아파트의 리모델링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인에게 주거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는데 물리적, 정신적으로 사용자를 치유하는 프로세스로서의 주거를 추구하면서 외부 자연의 요소를 아파트의 발코니 욕조라는 매개 공간을 통해 끌어옵니다.

This is a remodeling project for a 20-year-old apartment in the city center. This project starts from the question, “What is housing for city dwellers?” Pursuing dwelling as a process that heals users physically and mentally, it draws in elements of external nature through the intermediate space of the apartment balcony.

Healing Project
  • Black Facebook Icon
  • Black Instagram Icon

O-Scape Architecten, 1315 ho, 36, Saemunan-ro 3-gil,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 (03173)

(03173)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36 (내수동, 용비어천가), 1315호, O-Scape Architecten

© O-Scape Architecten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